6월3일은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있는 날입니다. 벌써 30여일 코앞으로 다가왔는데요. 여행·관광산업 현안해결 및 발전을 위한 정책을 도출하고 이를 각 당과 유력 후보에게 전달해 관광공약으로 채택되도록 힘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특히 이번 대선은 선거운동 기간이 짧고 당선 확정과 동시에 대통령 업무에 돌입한다는 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속도감이 중요하다는 지적이죠.
대통령선거 후보등록일(5월10일~11일) 이후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는 5월18일과 23일, 27일 세 차례에 걸쳐 경제, 사회, 정치 분야를 주제로 후보자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예요. 토론회는 각 후보들이 핵심 공약을 제시하고 국정운영 철학을 밝히는 자리인 만큼 여행·관광업계의 목소리가 반영된다면 대국민 홍보 효과는 물론 정책 반영 가능성도 높을 전망입니다. 하지만 대선 공약 분야로서 관광산업은 이렇다 할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어요. 관광 부문 공약이라고 해도, 지역 표심을 염두에 둔 지역관광육성 등과 같은 포괄적 수준이거나, 주4일 근무제 계획처럼 시행 여부나 시기가 불투명한 내용들이 대부분입니다. 여행·관광산업 종사자들의 먹고 사는 문제와 직결되고, 현장에서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현실적 관광공약을 바라는 시선이 많은 이유죠.
이제 여행업계도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한국관광협회중앙회(KTA)는 4월18일 ‘관광업계 기자단 초청 관광산업정책 간담회’를 열고 관광업계 대선 공약 마련을 위한 관광산업정책 방향에 대해 논의했는데요. KTA는 이번 간담회에 이어 산하의 각 지역별·업종별협회를 통해 정책건의 사항을 취합해 각 당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한국여행업협회(KATA)도 조만간 정책개발위원회의를 열고 여행업계의 정책건의 사항을 도출할 계획이어서 향후 대선 과정에서 관광이 어느 정도 관심을 받고 성과를 낼지 관심을 끌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