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판 여행시장이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승인 당시 독점이 우려되는 노선의 공급석을 2019년의 90% 수준으로 유지하라고 붙인 조건이 올해 인천-괌 노선에서 오히려 과당경쟁을 일으켰고, 이 여파가 사이판 노선으로도 번졌어요.
2019년 대한항공, 진에어, 에어서울의 인천-괌 노선 공급석은 약 87만8,000석에 달했고, 괌을 방문한 한국인 수는 75만여명이었어요. 하지만 올해 상반기 괌을 찾은 한국인수는 2019년 동기대비 44.3%에 불과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항공은 올해 인천-괌 노선에 대해 하루 2회 운항에서 하루 3회로, 진에어의 경우 하루 1회에서 하루 2회로 증편했어요. 수요가 뒷받침되지 못해 결국 가격 경쟁이 펼쳐졌고, 제주항공은 10월27일부로 인천-괌 운항을 중단합니다. 이처럼 수익성이 낮을 게 뻔하지만 합병 승인 조건에 따라 에어서울이 울며 겨자 먹기로 10월26일부터 하루 1회 운항에 뛰어들었어요.
사이판 노선에 불똥
사이판 노선이 영향을 받았어요. 사이판은 괌과 함께 경쟁 구도를 이어온 남태평양 지역의 휴양지로 항공사들이 괌 노선에서 10~20만원대 가격 경쟁을 펼치면서 상대적으로 사이판 항공권 가격이 경쟁력을 잃게 됐기 때문이에요. 올해 사이판 노선은 티웨이항공과 제주항공 두 항공사만 운항했지만 괌 노선에서 펼쳐지는 경쟁에 치여 운항 변동이 잦았고, 남은 하반기에도 불안정한 항공 공급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9월~11월 중순까지 인천-사이판 노선은 추석 연휴 기간을 제외하고 제주항공이 단독 운항하게 되면서 사이판 항공권 가격은 더 치솟았고, 이는 사이판 여행 수요를 위축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어요. 여행사들도 녹초가 됐는데요. 수요 대비 공급 과잉이 이어지는 괌 노선에서는 판매 부담이 커졌고, 사이판 노선에서는 항공사들의 잦은 운항 스케줄 변동으로 안정적인 판매가 어려워졌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