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30일, 무안공항의 조속한 개항을 촉구하는 대회가 열렸습니다. 무안공항은 항공기 사고 이후 10개월째 멈췄는데, 이로 인해 호남권 여행사의 생계가 위협받고 있어요.
호남권 여행사 관계자 40여명이 모여 세종시 국토교통부 앞에서 무안공항 개항을 촉구했습니다. 성명서도 전달했는데요. 안전하고 조속한 재개항과 인천‧김해국제공항 등으로 이동하는 버스 비용 지원 등도 함께 요구했습니다.
무안공항은 호남권의 거점공항이에요. 지난해 무안공항을 이용한 여객수는 40만4,412명으로 전년도보다 약 두 배 가까이 오르기도 했죠. 정기 노선 운항도 시작되며 관광이 상승세를 타려던 찰나 항공기 참사와 이에 따른 공항 폐쇄 장기화로 호남권 여행사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여행객 피해도 있는데요. 호남권 주민들은 인천·김해·청주공항 등 다른 지역 공항으로 이동해야 해 시간·비용 부담으로 여행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광주공항의 한시적 국제선 운항 요청도 나왔지만, 현실화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입니다.
참사 진상 규명은 내년 6월까지 이어질 예정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무안공항은 사실상 셧다운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요. 사고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로컬라이저 둔덕 철거 공사도 시작되지 않아 내년 하반기 내 재개항 또한 불투명하죠. 구체적인 재개항 목표나 로드맵이 없어 여행상품 판매도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게 여행사들의 토로입니다. 제주항공 참사 진상 규명이 1순위지만, 지역 여행사들의 어려운 상황을 타개할 방안도 필요합니다.